잡설

    아직도 검색엔진에서 인기를 끄는 키워드

    2013년 6월에 블로그 방문자와 관련해 글을 썼었는데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꾸준히 같은 키워드가 인기를 끄네요. 재밌는 건 글 자체는 달라졌습니다. 2013년에는 출시 예정 소식이었지만, 지금 검색에 잡힌 글은 출시된 후 쓴 글이죠. 역시나 이번에도 왜 저게 상위에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작품에 대한 비평을 쓴 것도 아닌데 말입니다.

    또다시 DDP에 다녀왔습니다

    DDP 개장 때도 한 번 방문했습니다만, 7월 2일부터 간송문화전 2부 전시가 시작돼서 다시 한 번 갔습니다. 지난 번에도 그렇지만 워낙 좋은 작품이 나왔기 때문에, 시간이 닿으신다면 한 번 보는 것도 좋습니다. “교과서에 실렸던 작품을 실제로 본다”고 평할 수 있을 만큼 유명하니까요. 그렇다고 그냥 글을 끝내기는 아쉬우니 오디오 가이드 이야기나 해볼까 합니다. 특이하게도 오디오 가이드는 넥서스 7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깔아서 줍니다. 상설 전시가 아닌 것을 감안하면 어플리케이션 품질은 나쁘지 않지만, 역시 7인치짜리 기기를 손목끈도 없이 들고 다니는 건 조금 부담되기는 합니다.

    요즘 읽는 책마다 하나씩 부족하네요

    어째 요즘 읽는 책마다 하나씩 부족한 점이 있어서 결국 글로 남기고 싶을 정도가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번역 문제였습니다. 언제부턴가 책이 잘 안 읽히면 책 표지의 역자 소개를 읽어보게 되었는데, 이번 경우는 좀 심했습니다. 번역이 올바르게 됐느냐 이전에 문장 수미쌍관이 안 맞는 부분을 여러 번 발견하고 나니 정나미가 떨어지더군요. 그래서 결국 끝까지 읽지 못했습니다. 다음에 잡은 책은 제목이나 목차가 예상하게 하는 주제는 마음에 들었지만, 전개 방식은 제가 생각하는 것과는 달랐습니다. 화룡정점으로 작가 에필로그를 읽으니 저의 생각과 어긋났던 이유가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어서 참 찝찝한 마음으로 책을 덮었습니다. 제법 두께도 있는 책이었는데 말이죠. 지금 읽고 있는 책은 (한국인이 썼으므로) 역자 문제도..

    스타벅스 일화

    몇 년 전부터 하루에 커피 한 잔은 꼭 마시고 있습니다. (어쩌면 카페인 중독일지도 모르겠네요.) 며칠 전에 스타벅스에 갔는데, 커피를 주문해놓고 앉아 있는데 나올 생각을 않는 겁니다. 보통은 커피가 나올 때까지 카운터를 들여다보는 편이지만 그 때는 다른 할 일이 있어서 거기에 정신이 팔려 있었습니다. 혹시 주문이 밀렸나 싶어 카운터 쪽을 봐도 직원분이 뭘 만들고 계시지는 않더군요. 그래서 영수증을 들고 가서 물어보니 주문이 누락된 모양이라며 사과하고는 커피와 함께 쿠폰을 하나 주더군요. 이런 걸 받아 본 건 처음이라 굳이 사진으로 남겨봤습니다.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서 이미 사용했지만요.)

    DDP를 가 봤습니다

    홍보자료에서는 Dream, Design, Play의 약자라지만 사실은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약자인 DDP를 가 봤습니다. 이 건물이 “우주선”이라 불릴 정도로 특이한 디자인으로 유명한데, 정작 건물을 방문하면 전체를 조망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가까이서 봐도 건물이 참 유연하게 생겼다는 것 정도는 알 수 있습니다. 개장 전시에 간송미술전이 있는데, 소장 작품 자체가 좋다 보니 구겨넣은 동선이라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좋은 관람거리가 됩니다. 애초에 이전까지는 1년에 두 번 개장할 때 줄을 서야 볼 수 있는 작품이었으니까요. 다른 개관기획전은 “통합권”으로 9천원에 볼 수 있는데 그렇게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굳이 한 가지 더 언급하라면, 동선을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이곳저곳 안내 표시를 붙여놓은 것을 보면 의..

    KTX 개통 10주년

    2014년 4월 1일자로 KTX 개통 10주년을 맞이한다고 합니다. 코레일 보도자료에 따르면 10년간 4억 1400만 명이 탑승했다고 합니다. 적어도 경부선 권역에서는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당일치기 이동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만으로도 KTX의 의미는 있겠죠. 마침 2004년 4월 KTX 개통이 되고 나서 한 번 타 봤을 때의 사진이 있어서 몇 장 올려봅니다. 동대구역 개찰구입니다. 코레일이 2009년에 개찰구를 없애버렸기 때문에 지금은 좀 어색한 사진이죠. 각각 서울역과 용산역의 모습입니다. 내부 사진은 올리지는 않았지만 큰 차이는 없습니다. 내부 모니터가 CRT에서 LCD로 바뀐 정도가 눈에 띄는 정도죠. 물론 산천 차량은 아예 다르기는 하지만요. 승차권의 경우에는 신용카드 크기의 승차권을 사용했지만 2..